총 백혈구수에 호중구의 백분율을 곱하여 계산한 것으로 이를 통해 호중구감소증을 진단할 수 있다.
🌼 Neutrophil : Segmented neutrophil + Band neutrophil
- Segmented neutrophil: 2-5개의 핵의 분엽 혹은 분절을 가지는 neutrophil
- Band neutrophil : segmented neutrophil로 성숙되기 전의 미성숙 호중구로, 분절이 없는 핵을 가짐.
호중구는 백혈구의 한 종류로 인체를 세균 및 진균 감염으로부터 보호하며, 모든 염증반응에 있어 초기 반응을 수행하기 때문에 절대호중구수가 감소하면 감염의 위험이 증가한다. 호중구수의 감소는 약물 독성, 과민반응, 항암제, 면역억제제 사용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절대호중구수 감소를 일으키는 질환으로는 골수형성이상증후군, 백혈병, 재생불량빈혈 등이 있다.
🌼 호중구감소증
호중구감소증은 절대 호중구 수(Absolute Neutrophil Count, ANC)가 500/μL 미만이거나, 절대 호중구 수(ANC)가 1,000/μL 미만 이고 48시간 이내에 500/μL 미만으로 감소 될 것으로 예측되는 경 우를 의미한다. 6) 절대 호중구 수가 500/μL 미만인 경우 세균감염 등에 극도로 취약해져 패혈증, 패혈성 쇼크 및 저혈압 등의 중증감염의 위험이 현저하게 증가하기 때문에 보호적 격리술이 필요하다.
🌼 호중구성 백혈구 증가증
호중구의 증가는 감염에 대한 신체의 정상적 반응이며 골절 또는 화상과 같은 신체 손상, 스트레스 등에 의해 증가할 수도 있으나 만성적으로 지속될 경우 골수증식종양의 가능성도 있으므로 이에 대한 확인이 필요할 수 있다.
'소담한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QCRA 인증 시험 후기(시험문제, 시험 난이도, 인증서) (1) | 2024.01.12 |
---|---|
한외마약이란?(코데인, 디히드로코데인) (0) | 2022.05.14 |
백혈구(WBC)의 종류 및 특징(feat. 호중구,호산구,호염구,림프구,단핵구) (0) | 2021.09.30 |
약물의 투여경로별 장단점 (0) | 2021.09.27 |
약물이상반응의 관련성(Causality) 평가 방법 (0) | 2021.09.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