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모니터링을 하다가
디히드로코데인 성분의 의약품을 복용한 대상자를 발견!
코데인은 마약성 진통제 성분으로,
병용금기 약물인데...?! 싶어서
찾아보다가 알게된 '한외마약'의 존재🤔
그래서 정리해봤다:)
✔️ 한외마약이란?
한외마약에 대한 설명은,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에 나와있다.
제2조 마약의 정의 ~어쩌구저쩌구~ 중,
바목!
다만! 다른 물질과 혼합되어 다시 '마약'으로 제조할 수 없고
신체적, 정신적 의존성을 일으키지 아니하는 것!
= 한외마약
즉 한외마약은, 마약의 성분을 함유하고는 있으나
마약처럼 신체적, 정신적 의존성을 일으키지는 않아
마약의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의약품을 말한다!
이렇게 말하면 애매~하니,
아래와 같이 한외마약의 범위에 대해
자세히 규정도 되어있다:)
내가 봤던 디히드로코데인!
알고보면 우리가 자주 먹는 코대원 시럽도
코데인 성분이 들어있다.
의약품 안전나라에서 코데인을 검색해봤다:)
코데인 성분을 가진 의약품은
49개가 검색된다.
그 중 코데인인산염수화물이 함유된
마이폴캡슐을 살펴보면,
이렇게 마약류구분에 마약!이라고 적혀있고
효능효과는 통증완화, 통증치료가 주 효과다.
즉, 마약성진통제에 해당된다:)
반면, 우리가 감기걸리면 자주 먹는 코대원시럽!
분류를 보면 마약류로 분류가 되어있는데,
클릭해서 자세히 보면
이렇게, 한외마약으로 분류 가 되어있다:)
효능효과도 기침, 가래로 나와있다.
즉 코대원포르테시럽은
코데인성분을 함유하고 있다고 해서
마약성진통제인 것이 아니라, 거담제로 사용되는 것!
포함된 성분 하나만 보고 엇 마약?! 이러면 안되고
그 외 성분과 함량, 효능효과도
자세히 살펴봐야겠다😊
'소담한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QCRA 인증 시험 후기(시험문제, 시험 난이도, 인증서) (1) | 2024.01.12 |
---|---|
ANC(Absolute Neutrophil Count, 절대호중구수)란? (0) | 2021.10.15 |
백혈구(WBC)의 종류 및 특징(feat. 호중구,호산구,호염구,림프구,단핵구) (0) | 2021.09.30 |
약물의 투여경로별 장단점 (0) | 2021.09.27 |
약물이상반응의 관련성(Causality) 평가 방법 (0) | 2021.09.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