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혈구(White Blood Cell, WBC)는 면역기능을 수행하는 혈구세포로, 모든 백혈구는 핵을 가지고 있어 핵이 없는 적혈구, 혈소판과 구분된다.
혈구 내 함유된 과립의 유무에 따라 과립혈구와 무과립혈구로 구분하며, 과립혈구에는 호중구, 호산구, 호염구, 무과립혈구에는 림프구, 단핵구가 있다. 각각의 특유의 식세포작용, 면역작용 등의 기능을 가진다.
[호중구(neutrophil)]
- 이동성이 높아 손상된 부위에 나타나는 첫 번째 백혈구로, 급성 염증 반응의 특징적인 세포임. 염증 반응의 초기 반응을 수행하는 만큼, 호중구수가 감소하면 감염의 위험이 증가함.
- 세균을 공격하거나 분해함.
- 생명주기가 짧아 혈액 내에서 약 10시간 정도 생존하며, 세포찌꺼기나 병원균을 포식한 후에는 최대 30분까지 생존할 수 있음.
- 각각의 호중구는 약 10~20개 내외의 세균을 포식하며, 호중구가 파괴될 때 화학주성 물질이 유리되어 다른 호중구를 손상부위로 불러모음.
- 죽은 호중구와 세포찌꺼기의 혼합체가 고름(pus)임.
[호산구(eosinophil)]
- 크기가 큰 기생충 등에 감염 시 효과적인 작용을 보임.
- 기생충 감염, 알러지 반응 시 수가 크게 증가됨.
[호염기구(basophil)]
- 조직 손상 시 손상된 조직 내에서 히스타민을 분비하여 국소염증반응을 증강시키고, 혈관을 확장시켜 혈류량을 증가시킴.
- 항응고제 헤파린을 포함하고 있어 혈액이 너무 빨리 응고되는 것을 막음.
[림프구(Lymphocyte)]
- 혈액 내 림프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유형이 존재한다.
① B cell : 체액성 면역 담당. 활성화되면 형질세포(plasma cell)로 부놔하여 항체를 생성함.
② T cell : 세포매개면역 담당. B cell을 활성화시킴.
③ NK cell(자연살해세포) : 선천면역 담당.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종양세포 등 비정상적인 조직세포를 감지, 파괴함.
[단핵구(Monocyte)]
- 가장 큰 혈구세포로, 적혈구보다 약 3배 정도 큼.
- 말초조직 내에서 조직대식세포(tissue macrophage)로 바뀌어 강력한 포식작용을 함.
- 포식세포 시 분비되는 화학물질을 통해 호중구, 단핵구와 같은 세포를 유인함.
'소담한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외마약이란?(코데인, 디히드로코데인) (0) | 2022.05.14 |
---|---|
ANC(Absolute Neutrophil Count, 절대호중구수)란? (0) | 2021.10.15 |
약물의 투여경로별 장단점 (0) | 2021.09.27 |
약물이상반응의 관련성(Causality) 평가 방법 (0) | 2021.09.03 |
자료제출 범위에 따른 의약품 분류(신약/자료제출의약품/개량신약/제네릭) (0) | 2021.08.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