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감도(Sensitivity) : 질병이 있는 대상자를 검사했을 때 양성으로 나온 비율
✔ 특이도(Specificity) : 질병이 없는 대상자를 검사했을 때 음성으로 나온 비율
✔ PPV(Positive predictive value, 양성예측도) : 검사결과 양성인 대상자가 실제로 질병이 있는 비율
✔ NPV(Negative predictive value, 음성예측도) : 검사결과 음성인 대상자가 실제로 질병이 없는 비율
✔ 유병률(Prevalence) : 특정 집단에서 검사 당시 질병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의 비율
예시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질병의 예측과 검사가 이루어졌다고 가정했을 때,
질병 있음 (Actual Positive) |
질병 없음 (Actual Negative) |
Total No. | |
검사결과 양성 (Predicted positive) |
45 | 10 | 55 |
검사결과 음성 (Predicted Negative) |
15 | 30 | 45 |
Total No. | 60 | 40 | 100 |
1. 민감도 : 실제로 질병이 있는 대상자가 검사결과 양성으로 나온 비율이므로,
45/60 = 75 %
2. 특이도 : 실제로 질병이 없는 대상자가 검사결과 음성으로 나온 비율이므로,
30/40 = 75 %
3. PPV = 양성으로 예측한 대상자 중 실제로 질병이 있는 비율이므로,
45/55 = 81.82 %
4. NPV = 음성으로 예측한 대상자 중 실제로 질병이 없는 비율이므로,
30/45 = 66.67 %
이렇게 된다😊
✔ 민감도가 높은 검사 = 실제 질병이 있는 대상자는 양성으로 나올 가능성이 높음 = 실제 질병을 놓치지 않고 잡아내는 능력이 높음 = 검사결과가 음성으로 나오면 음성일 확률이 높음.
✔ 특이도가 높은 검사 = 유병률이 낮은 질병의 경우 유리함.
암과 같이 심각한 질환의 경우 조기진단이 필요하고, false negative가 적어야 하므로 민감도가 높은 검사가 유리하다.
'소담한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약품 분류 : 전문의약품(ETC) vs 일반의약품(OTC), OTX, 안전상비의약품 (0) | 2021.07.29 |
---|---|
평균값(Mean) vs 중앙값(Median) vs 최빈값(Mode) (0) | 2021.07.22 |
신의료기술평가란? (신의료기술평가 절차 및 방법) (0) | 2021.06.18 |
항암제 평가지표 관련 용어 정리 - PFS / OS / TTP / DOR / PPS (0) | 2021.06.11 |
Side effect vs Adverse effect / misuse vs abuse 비슷하지만 다른 용어정리! (0) | 2021.05.31 |
댓글